이번 튜토리얼은 강세장에 효과가 좋은 매매 전략들을 다루었습니다!
트레이딩에 신규 진입한 '코린이/주린이'나, 어느 정도 경험이 쌓인 숙련된 트레이더들 모두에게 도움이 될 내용입니다.
원문 제목에서 알 수 있다시피 쉽게 사용가능한 매매 전략들이 담겨있습니다!
실제로 사용하고 적용해보세요.
최대한 문단을 정리해보았지만, 내용이 길어 천천히 읽어보시길 바라며
오늘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역주 설명은 문장 첫 부분과 끝 부분에 * ,¹ ² ³ 을 달았습니다.
예시: *¹ 안녕하세요*
들어가며 - Introduction
강세장을 위한, 단순해 보이지만 우아하며 강력한 3가지 트레이딩 전략을 재편집한 가이드입니다.
- 레벨 투 레벨 매매법 (Level-to-Level Trading)
- 지수 이동 평균선 매매법 (EMA's, Exponential Moving Averages)
- 거래량 돌파 매매법 (Volume Breakouts)
이번 버전에서는 이전에 다룬 내용들을 현재 시장 상황에 맞게 조정했으며, 동시에 신규 트레이더들도 쉽고 재밌게 따라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미 경험이 쌓인 트레이더들에겐 강세장 상승추세에서 '분석 마비' 증상을 피하고 수익성 있는 매매 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전략들을 다시 상기시켜 줄 것입니다.
지지선과 저항선을 이해하는 것부터 EMA 크로스오버, 돌파 매매를 위한 거래량 신호 이해까지 모든 것을 다루려고 최선을 다해 노력해 보았습니다.
노련한 트레이더든 초보 트레이더든 이 가이드는 강력한 추세가 이어지고 있는 현재, 도움이 될 실용적인 통찰력을 제공할 것입니다.
※ 목차
1 - 기본적 분석 (Fundamental Analysis)
2 - EMA 트레이딩 (EMA Trading)
3 - 돌파 이해하기 (Understanding Breakouts)
4 - OBV로 검증하기 (On-Balance Volume (OBV) for Confirmation)
5 - 레벨 투 레벨 트레이딩 (Level to Level Trading)
6 - 지지 & 저항 (Support & Resistance)
7 - 정확한 트레이딩 기회 포착하기 (Seizing Trading Opportunities w/ Precision)
1. 기본적 분석 - Fundamental Analysis
부제 - 현재 시장 상황에서 통하는 기본적 분석 방법
기본적 분석 (펀더멘탈 분석, Fundamental Analysis) : 차트의 가격 움직임 자체를 연구하는 기술적 분석(TA)과 다르게,
회사 또는 프로젝트의 재무제표, 경영 등 내재적 가치를 평가해 분석하는 방식
-
상승장에서는 새로운 추세와 *내러티브에 따라 여러분의 트레이딩 방식을 적응하고 변화해야 합니다.
*내러티브, narrative : 실제 또는 허구의 설명/이야기라는 뜻으로, 문맥상 '전망' 또는 사람들의 '관점'
상승장에서는
우선적으로 관심도에 따라 트레이딩 하고, 내러티브를 포착하려 노력해야 하며, 다른 추가적인 요소들은 보조적입니다.
토크노믹스(tokenomics), 베스팅 일정(vesting schedules), 프로젝트의 퀄리티(product quality)도 물론 중요하지만,
시장의 정서와 관심은 새롭고 눈에 띄는 종목으로 옮겨가면 이러한 요소들은 뒷전으로 밀려나게 됩니다.
*사람들의 관심과 유행이 제일 중요*
그래도 이 요소들이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뼈대가 되는 것을 잊지 마세요.
관심은 이야기를 불러일으키고, 이야기는 가격을 펌핑시키게 합니다.
우리가 찾는 것은 이러한 펌핑입니다. 따라서 시장의 타이밍을 맞추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어떤 코인을 투자하거나, 매매할지 선택하는 것은 트레이딩 전략만큼이나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기술적 분석(TA, technical analysis)의 필수 요소들을 모두 다루었었으니,
여기서는 기본적 분석(FA, Fundamental Analysis)에 초점을 두고 트레이딩 할 자산을 선택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펀더멘탈 투자를 위해 고려해야 할 5가지
- 프로젝트 팀 & 비전 : 머릿돌 (Team & Vision: The Cornerstone)
모든 프로젝트의 핵심은 '팀'과 그들의 '비전'에 있습니다.
팀의 전문성과 실적을 자세히 검토하고, 팀의 비전을 이해하여 프로젝트의 수명과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세요.
- 토크노믹스 & 공급 : 설계도 (Tokenomics & Supply: The Blueprint)
*토크노믹스, Tokenomics : 토큰과 이코노믹스(경제)를 합친 단어로, 암호화폐의 경제 모델, 생태계를 말함
토크노믹스는 매우 중요합니다.
코인의 공급, 유통량, 가치에 영향을 미칠 구조를 평가해 보고, 이러한 요소들이 프로젝트의 장기적인 목표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세요.
- 파트너십 & 협업 : 증폭제 (Partnerships & Collaborations: The Multipliers)
우수한 파트너십은 프로젝트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파트너십과의 협업이 프로젝트의 성장에 끼칠 강점과 잠재력을 평가하세요.
- 시장의 유행 & 수요 : 파동(Market Trends & Demand: The Pulse)
프로젝트가 추구하는 방향이 '전반적인 시장의 트렌드'와 어울리고 '수요'가 있는지.
예를 들어 더 저렴한 가격의 온체인 스왑과 트랜젝션을 추구하는 Base's의 이니셔티브처럼,
실질적이면서 증가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프로젝트는 성공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이니셔티브, initiative : 이니셔티브는 목적 달성이나 문제의 해결을 위해 시작한 '주도적인' 계획이나 프로젝트를 뜻합니다.
예시 : Base는 이더리움 L2 솔루션으로, 온체인 확장성 개선을 지원합니다. 코인베이스 사용자들에게 기존 이더리움 체인에서 불가능했던 온체인 스왑 또는 거래를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ERC20의 가스 수수료는 평균 200달러 이상이라 진입장벽이 매우 높지만; 솔라나, 톤, 아발란체와 같은 체인이나 Base와 같은 L2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커뮤니티 & 선정 : 심장 박동 (Community & Adoption: The Heartbeat)
참여도가 높고 활기찬 커뮤니티는 매우 귀중한 지표가 됩니다.
잠재적 성공의 지표를 측정하기 위해 '커뮤니티의 분위기'나 '사용자들의 참여도'를 살펴보세요.
또한 지원팀에 연락해서 프로젝트에 대해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을 질문해 보면서, 개발자와 대화도 해보세요.
만약 그들이 공개적으로 소통하지 않는다면 좋지 못한 신호입니다.
"단순히 차트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주목과 관심을 보고도 트레이딩 하세요."
"Trade attention & hype, not just charts."
과거 21년 상승장 동안' 바이낸스 런치패드/벤처' 또는 '3AC(three arrows capital)'가 참여했던 프로젝트들은 마치 금(gold)처럼 상승했습니다.
특히 바이낸스와 같은 '자체 거래소'나 '마켓 메이커', 'KOL'들에겐 시장의 동향/트렌드는 상당한 비중을 차지합니다.
*KOL, Key opinion leader : 핵심 오피니언 리더,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갖고 있으며 그에 따른 인지도와 신뢰를 갖고 있는 사람 = 인플루언서
1-1. '러그'인지 확인하고 사기를 당하지 않는 방법은? - How to spot rugs and protect yourself against scams?
※ 비상장 코인을 트레이딩 할 때 확인해야 할 사항들
1. 적절히 분산된 공급량을 갖고 있고, 특정 주소가 공급되는 토큰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는 않는지 확인
-
2. 유동성 풀(Liquidity Pool)이 잠겨있는지 여부 : 이게 중요한 이유는 만약 토큰 생성자가 유동성을 회수하게 되면 토큰의 가치와 상관없이 거래가 불가능하게 됩니다
-
3. 계약(토큰의 계약 주소)이 포기되었는지 여부 : 만약 계약이 포기되지 않은 경우 소유자가 계약을 변경하여 완전히 판매할 수 없게 된다던가, 매수/매도 수수료를 부과하게 할 수 도 있습니다.
매수/매도 수수료가 있든 없든, 이는 가짜 거래량이나 스나이퍼 봇(알고리즘 매매 봇)을 방지하기 위해 신규 토큰에 적용될 수도 있겠지만 동시에 토큰을 매수/매도 때마다 주문 금액의 일정 비율을 계속해서 잃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4. 신규 코인의 대량 매수나 많은 거래량이 발생한 후 이를 *실링 하는 인플루언서가 있다면, 이는 아마 그들의 가방을 진작 채워두고 여러분을 유동성 출구로 이용하고 있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악질적인 인플루언서들로 인한 과한 *실링은 암호화폐에 항상 좋지 않은 신호입니다.
*실링, shilling : 자신의 이익을 위해 비트코인 및 알트코인을 홍보하는 사람 또는 행위
- 결론 Conclusion
끊임없이 전개되는 상승장에서는 시장 심리와 내러티브의 유행을 예리하게 관찰하면서 기본적 분석(FA)을 마스터하는 것이 혹시 모를 횡재(windfalls)를 얻기 위한 첫 번째 열쇠입니다.
차트 말고도 시장의 흐름에 따라 매매도 해보고, 끊임없이 탐구하고 정보를 얻으며 트레이딩 하세요.
2. EMA 트레이딩 - EMA Trading
- '1일 봉 차트의 13일, 21일 EMA선'과 '4시간 봉 차트의 200일 EMA선' 그리고 '거래량'을 조합하여 강력한 매매 신호를 찾는 방법
※ 단순해 보여도 효과적인 3가지 전략
- MA와 EMA의 차이점은?
MA (단순 이동 평균) :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종가) 평균선
EMA (지수 이동 평균) : MA와 동일하나 최근 가격에 가중치(중요도)가 적용된 평균선
1. 일봉 EMA의 강세 크로스오버 - Bullish Crossover on Daily EMA
- 일봉 차트에서 13일 EMA선과 21일 EMA선은 *강세 크로스오버(bullish crossover)를 보여야 합니다.
*강세 크로스오버는 골든 크로스라고도 불림, 반대는 데드 크로스
-13일 EMA선은 일정 기간 하락한 후 21일 EMA선 위로 상승해야 합니다.
-두 EMA선 모두 상승 기울기를 보여야 합니다.
--가격의 움직임이 두 EMA선 위에 머물러야 상승 모멘텀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4시간 봉 200 EMA선 지지 - 200 EMA Support on 4-Hourly Chart
-4시간 봉 차트에서 200일 EMA선은 안정적인 지지 역할을 하고 있어야 합니다.
-포지션 진입 기회는 가격의 'EMA 하방 이탈'+ ' EMA 리테스트'에서 발생합니다.
-- 가격이 EMA선 위로 높게 상승하는 모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4시간 봉 차트의 200 EMA는 아주 훌륭한 역할을 해냅니다.
3. 거래량이 확인된 상승 돌파 - Breakout Confirmation by Volume
- 모든 돌파(Breakout)는 상당한 거래량이 동반되었는지 검증(Confirmation)해봐야 하며, 이는 강력한 시장참여를 의미합니다.
- 트레이딩 뷰에서 거래량 이동 평균선 설정하기
아래 그림과 같이 거래량(Volume) 설정에 들어가 거래량 이동 평균선(Volume MA)을 체크하여 켜세요.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유의미한 거래량이 동반된 채로 가격이 이평선(EMA)을 상승/하락 돌파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돌파 방향으로 지속되는 움직임을 보입니다.
여기서 거래량이 많다는 것은 해당 구역을 지지/저항으로부터 돌파하기 위해 매우 많은 양의 거래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앞서 설명한 EMA 선들 모두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EmperorBTC가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세팅
비트코인(BTC) 추천 세팅
- 일봉 : 21 EMA, 55 EMA
- 4시간 : 50 EMA, 200 EMA
알트 코인 추천 세팅
- 일봉 : 13 EMA, 25 EMA, 55 EMA
- 4시간 : 50 EMA, 99 EMA, 200 EMA
- 1시간 : 100 EMA
알트 코인 예시

일봉 55일 EMA선은 강세장 내내 발생했던 하락(dips)에서 꾸준히 매수 기회를 제공했었습니다.
3. 돌파 이해하기 - Understanding Breakouts
돌파(Breakouts)는 시장 심리의 중요한 변화를 의미합니다.
주로 가격이 중요 지지/저항을 넘어서는 모습(돌파)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돌파의 의미를 더 자세히 알아봅시다.
1. 돌파의 정의 - Definition of Breakouts
- 가격이 중요한 지지선 또는 저항선을 뚫게 되는 모습으로 돌파를 볼 수 있습니다.
- 중요 레벨 (주요 지지/저항)이라 정의되기 위해선 일반적으로 EMA, 채널(channels), 박스권 구간(consolidation ranges)들로 인해 설정/정의됩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10~$12 사이를 박스권 횡보하던 중, 가격이 $12를 넘어서는 돌파 패턴이 나타날 경우 이는 상승 추세의 가능성을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1-1 돌파 유형 Types Of Breakouts
2. 돌파를 컨펌하기 위한 거래량의 역할 - Volume's Role in Confirming Breakouts
- 거래량은 가격 움직임 또는 변동성에 의해 발생한 돌파를 검증(Confirming) 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 역할을 합니다.
- 트레이더는 가격 움직임, 거래량, 변동성 중 적어도 두 가지 요소를 통해 검증을 진행해야 합니다.
(price movement, volume and volatility)
- 거래량이 중요한 이유는
첫째. '돌파의 진위 여부'를 확인 위해
둘째. '돌파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셋째. '약한 돌파/강한 돌파'인지 구분하기 위해
등이 있습니다.
-
돌파에서 기회 찾아내기 - Identifying Breakout Opportunities
돌파를 찾기 위해 거래량 하나만을 참고하는 것은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는 요즘 OBV를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4. OBV로 검증하기 - On-Balance Volume for Confirmation
이제 OBV(On-Balance Volume)가 돌파를 검증하는 데에 어떤 관련성을 가지며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1. OBV 이해 - Understanding OBV
- OBV는 거래량 흐름을 통해 가격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조셉 그랜빌(Joseph Granville)이 개발한 모멘텀 지표입니다.
*모멘텀 지표, Momentum : 가격의 추세 강도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 상승/하락의 강도, 속도를 측정
- 거래량이 시장(증권)으로 유입되는지/유출되는지 파악하기 위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트레이더가 시장 심리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2. OBV의 작동방식 - How OBV Works
- OBV는 일정 기간 동안 변화하는 매수/매도 거래량을 통합시켜, 누적 거래량 합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OBV 계산식
1. 가격의 종가(closing price)가 높으면 합계에 더함 (+)
2. 종가가 낮으면 합계에서 차감 (-)
3. 종가가 동일하면 합계를 유지
*추가 설명*
예를 들어
1월 1일 주가가 전일대비 상승 마감했고,
거래량이 100, 누적 거래량이 1000이라면 OBV는 1100이 됩니다.
1월 2일 주가가 전일대비 하락 마감했고
거래량이 200이라면, 누적 거래량은 1100에서 200을 뺀 900이 됩니다.
1월 3일 주가가 전일대비 같은 가격에 마감했다면 누적 거래량은 900입니다.
-
자세한 정보는 아래 글에서 확인하세요!
7. On Balance Volume - OBV 사용법 (MASTER-CLASS / 한글 번역)
이번 클래스에서는 OBV의 소개와 사용 방법을 다룹니다. 저도 예전 Emperor의 메뉴얼을 처음 읽었을때부터 지금까지 사용하는 좋은 지표입니다! 여러분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역주
marupong.tistory.com
3. OBV의 중요성 - Significance of OBV
- OBV는 기관과 개인 투자자를 구분하는데 도움이 되며, 군중 심리를 판단하기 위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 가격 돌파 중
높은 OBV면 강한 확신(돌파 방향으로의 시장 믿음/동의가 반영)
낮은 OBV면 약한 움직임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3-1. 돌파 확인 과정에서 OBV 활용하는 방법 - Leveraging OBV in Breakout Confirmation
OBV를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하면 시장 심리와 방향성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돌파를 검증하는데 더욱 도움이 됩니다.
특히 OBV를 사용하며 거래량을 자세히 관찰해 보면, 트레이더 스스로 돌파 매매 시나리오에서 정보를 근거로 한 결정력을 얻게 됩니다.
5. 레벨 투 레벨 트레이딩 - Level to Level Trading
부제 : 레벨 이해하기 - 트레이딩의 중추
트레이딩에서 "레벨"은
차트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특정 가격대 또는 과거에 가격이 반응한 영역을 의미
*레벨은 = 지지/저항선 또는 지역(zone)
이러한 영역은 중요 지지/저항으로 작용하여 가격 반응이나 가격 반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높은 시간대(장기) 차트(HTF)에서 레벨을 대입할 때는, 하나의 '선'이 아닌 '영역'으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편향을 형성하기 위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주봉 차트의 레벨을 사용할 것입니다.
그러나 주봉만을 기준으로 한 레벨 트레이딩은 여러 시간대 차트의 각각 구간적 특성으로 인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레벨의 종류 - Types of Levels in Trading
1. 지지 레벨, Support Levels : 매수세가 추가적인 하락을 막는 가격대입니다.
이전 저점이나 이동 평균선으로 찾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저항 레벨, Resistance Levels : 가격 상승을 멈추는 매도 압력이 발생하는 가격대입니다.
이 구간은 일반적으로 이전 고점, 이동 평균선, 피보나치 되돌림으로 찾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6. 지지 & 저항 - Support & Resistance
지지와 저항(S/R)은 트레이딩에서 가격의 움직임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두 가지 중요 개념입니다.
지지 (지원, Support) : 암호화폐에 대한 수요가 많은 가격대(level)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기 좋은 가격대라고 믿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사고 싶어 하는 지점입니다.
어떤 물건이 특가 세일 중이라 사람들이 상점으로 달려들고 있는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구매자들이 몰리게 되면 가격에는 상승압력이 발생해 가격하락이 방어됩니다.
마찬가지로 지지도 가격이 너무 많이 하락하는 것을 막아 다시 '반등'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대로,
저항 (resistance) : 암호화폐에 대한 공급이 많은 가격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가격이 너무 높거나/고평가 되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팔고 싶어 하는 지점입니다.
저항은 가격의 상승을 어렵게 만듭니다.
저항은 공급(판매자) 집중으로 인해 상승 추세가 막힐 것이라 예상되는 지점입니다.
(자산의 가격이 상승하면 > 판매자가 시장에 진입 > 하방 압력으로 인한 저항 형성)
가격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막는 상한선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트레이더는 지지선과 저항선을 이용해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가격이 지지선에 가까워지면 일부 트레이더들은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여 매수 신호로 인식하고,
다른 사람들도 여기서 가치를 느껴 상승 모멘텀을 만들 것이라고 믿습니다.
반대로,
가격이 저항선에 가까워지면 일부 트레이더들은 다른 트레이더들의 매도로 인한 하방 압력이 가해질 것이라 예상하며 매도 신호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6-1. 가격 움직임을 이용해 수평선 그리기 - Utilising Price Action to Draw Horizontal Lines
위 예시를 가이드로 삼아, 직접 차트에서 지지/저항 지점을 심플하게 찾아보세요.
중요도가 있어보면서, 가격 움직임을 막는 장벽 같아 보이는 중요 지지/저항을 찾으세요.
위의 차트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이전에 찾아낸 레벨 말고도 일봉에서 찾아낸 레벨도 표시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마 빨간 선이 일봉 레벨
주봉차트에서 레벨을 찾아 그린 후 일봉 차트를 보게 되면, 주봉 레벨의 중요도가 어떻게 존중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가격의 움직임이 레벨을 존중하는 모습은 그려낸 레벨이 정확하다고 볼 수 있는 긍정적 신호입니다.
레벨을 표시할 때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보는 습관을 가지면 지지와 저항이 있는 중요 영역을 식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6-2. 레벨이 거의 100개나 그려지면 각각의 레벨의 중요성을 어떻게 구분/평가할까요? - How can you further reason the drawing and assess the importance of the levels on a chart when there can be 100 levels drawn?
6-3. 트레이딩을 위해 레벨을 정밀하게 그리는 방법 - How to refine your levels for trading
트레이딩을 위한 레벨을 정밀 조정하기 위해서는 선을 그리는 것 외의 추가 작업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최근 차트의 가격 움직임을 보고 레벨을 조정하는 과정입니다
1. 제일 중요한 레벨 선택, Pick Final Level : 가격에 많이 닿은 레벨들이 모여있는 구간(박스권, Range)에서 > 그 구간에 가장 가운데에 가까운 레벨을 최종 레벨로 선택하세요. 중간 지점을 아주 정확히 설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2. 1번의 중앙 설정이 예외적용 되는 때, Exceptions to the Mean : 격렬한 돌파가 발생할 땐 레벨을 '박스권의 중간 지점'으로 설정하지 마세요.
박스권의 고점을 강하게 상승 돌파하는 경우, 상승이 지속되기 위해; 약간 하락하는 고점 리테스트가 있을 가능성을 예상해 두세요. (박스권 저점 하락 돌파하는 경우도 동일한 개념이 적용)
3. S/R을 영역으로 보기, View S/R as Zones : 지지와 저항(S/R) 레벨을 하나의 선이 아닌 영역으로 간주하세요.
S/R에서 발생하는 반등(S/R flips)은 주문이 발생하고 체결된 것을 나타냅니다. 가격 변동이 발생하는 영역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정확한 레벨을 그리기(설정) 위해서는 가격 움직임과 주문 흐름을 고려하고, S/R을 단순한 선이 아닌 영역으로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시장 상황에 따라 접근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보면서 다양한 시나리오에 적응해 보세요.
7. 정확한 트레이딩 기회 포착하기 - Seizing Trading Opportunities w/ Precision
당신이 레벨을 어느 정도 연마한 뒤엔, 가격 움직임에 대한 지식에만 의존하는 것만으로는
꾸준한 트레이딩 수익을 내기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관적인 수익을 발생시키기 위해선 감정에 흔들리지 않고 매매 전략을 엄격하게 지킬 수 있어야 하고,
전략을 백테스트하고 > 그 결과에 따른 성공률을 모니터링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50%의 성공률로 2:1 손익비의 리스크-보상 셋업으로 트레이딩이 가능하다면 전설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손익비 추가 설명*
- 손익비(R:R, Risk-Reward) 계산식 = (적중 시 얻는 금액의 평균 / 미적중시 얻는 금액의 평균)

- 계산 예시
1. 손익비가 3:1이면 적중시 3을 얻고, 미적중시 1을 잃는다는 뜻
2. 목표가가 진입 가격보다 10% 높고, 손절가가 진입 가격보다 5% 낮을 시 손익비는 2:1
3. 손익비가 '4:1'일 때 '1/(4+1)'이므로 최소 승률이 '20%'이어야 함.
3-1. 1000원으로 시작해 1회 베팅에 100원, 승률은 20%이며 10번 베팅하게 되면
2승 (+800원), 8패 (-800원)이므로 손실도 수익도 없는 손익분기점
*손익분기점 : 투자 비용과 투자 수입이 동등해 일치하게 되는 지점
------
트레이딩뷰에서는 아래처럼 손익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슴

7-1. 이제 정밀하게 그려낸 레벨을 사용하는 3가지 매매 시나리오를 살펴봅시다!
- 3번 터치된 레벨 (3 touch) : 이번 시나리오는 가격이 레벨을 3번 터치한 테스트가 발생했고 *존중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기서 단어 respected가 쓰였는데 즉, 가격 움직임이 해당 레벨의 중요도를 존중하여 유지되고 있는 상황
트레이더들은 일반적으로 이 레벨에 4번째 터치될 때면 나타날 '가격 반응'이나 '반전 가능성'을 예상하려 할 것입니다.
가격 반전이 나타날 가능성에 대해 전략을 세우고, 매매 기회를 찾아보세요.
예를 들어
가격이 이 레벨을 상승 돌파하지 못하면 숏포지션을 진입해 볼 수 있을 테고,
반대로 가격이 레벨을 하락돌파하지 못하면 롱 포지션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검증을 위해 여러 지표들을 동시 검증하거나, 캔들 패턴을 분석해 보는 등 매매 근거를 강화하세요.
*SFP, Swing Failure Pattern : ' 스윙 실패 패턴'은 추세가 꺾일 때 매수/매도 압력이 부족해지는 때를 식별할 수 있는 패턴
참고 글 : 10. 스윙 실패 패턴/SFP 마스터 클래스
- 2번 터치된 레벨 (2 touch) : 여기서는 가격이 특정 레벨을 2번 테스트되고 존중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앞서 보았던 3번 터치된 상황과 마찬가지로,
트레이더들은 레벨에 3번째 터치가 발생하게 되었을 때의 가격 반응, 반전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해당 레벨을 다른 보조 지표, 패턴과 같이 결합해 보거나, 다른 신호를 검증해 보면서 반전 전략에 적용한다면 매매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 1번 터치된 레벨 (1 touch) : 레벨에 가격이 한 번만 테스트되고, 존중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단 한 번의 가격 터치가 일어난 레벨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떨어질 수 있겠지만, 그래도 트레이딩 기회는 제공됩니다.
해당 레벨에서 돌파/반등 발생 가능성을 고려하세요.
돌파 시,
가격이 상승 돌파할 경우 롱 포지션 진입
하락 돌파할 경우 숏 포지션을 진입
반등(bounces)의 경우,
가격이 약 하락 후> 레벨로 되돌림 발생 시 롱 포지션 진입
가격이 약 상승 후> 레벨로 되돌림 발생시 숏 포지션 진입
💡 중요 : 이런 레벨들은 '단순한 선'이 아닌 매수/매도를 위한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어있는 활발한 영역이라는 것을 기억하세요.
선을 더 효과적으로 그리기 위한 추가적인 2가지 팁이 있습니다.
- Tip 1 : 각 선에 색상 지정하기 : 뚜렷한 색과 선 굵기를 사용하세요.
다양한 시간대에 존재하는 레벨을 차별화하여 가시성과 명확성을 높이세요.
- Tip 2 : 오브젝트 트리 활용 : 트레이딩 뷰와 같은 플랫폼에서 오브젝트 트리와 같은 기능을 사용하면
그려진 레벨을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7-2. 레벨의 중요도 판단하기 - Determining Level Importance
각 레벨의 중요도를 평가해야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
- 과거 상호작용 - Past interactions
*해당 레벨에서 과거에 어떠한 반응(작용)을 보였었는지
- 최근 가격 움직임 - Recent price behaviour
*최근 가격이 특정 레벨에서 어떤 움직임 보였는지
- 시간대별 정렬 - Alignment across timeframes
*다양한 시간대의 차트에서 일관된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 가격 거부 규모 - Magnitude of price rejection
*가격이 레벨을 돌파하려는 시도가 실패해서 일어난 움직임의 강도가 어느 정도였는지
- 상위 차트주기의 확인 - Confirmation from higher time frames
*높은 시간대의 차트에서도 충분히 확인 및 검증이 되는지
- 거래량 및 유동성 - Volume and liquidity
*거래량이 많고 유동성이 높을수록 중요도 상승
- 역할 전환 역학 - Role reversal dynamics
*레벨이 (지지 > 저항) 또는 (저항 > 지지)로 전환되면 해당 레벨의 중요도가 더 상승 (시장 심리 변화, 변동성 증가 등)
7-3. 주봉 차트에서 레벨 그리기 - Drawing Levels on Weekly Charts
주봉 차트를 전체를 명확하게 보기 위해 차트를 축소하고(Zoom out), 캔들과 꼬리를 찾아보세요.
1. 일단 중요도가 높아 보이는 모든 레벨을 그리기
*어떤 이유인지도 작성하기. 예를 들면 주봉 시가, 종가 등 선에 메모 추가하기
2. 당신의 매매 전략에 따라 중요한 레벨만을 남겨두세요.
*삭제하기 아까운 선들은 특정 프레임에서만 보이게 하기 (트레이딩뷰 기준 '선 더블클릭> 보임'에서 설정)
또는 오브젝트 트리에서 별도 구분하기
7-4. 차트에서 레벨 식별하기 - Identifying Levels on Charts
부제 - 레벨의 정확도 개선을 위한 : 각 레벨의 정제 및 평가 전략
검증 및 정확성을 위해 주봉의 레벨과 일봉 레벨을 함께 표시하세요.
중요 지지/저항선을 식별하기 위해 차트를 항상 오른쪽에서 > 왼쪽으로 보는 습관을 유지하세요.
레벨 투 레벨(level-to-level)을 마스터하는 것은 성공적인 트레이딩을 위한 초석입니다.
(지지/저항 레벨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트레이더는 의사결정을 강화하고, 전반적인 성과를 향상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 Conclusion
이번 튜토리얼에서 공유한 인사이트가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이번 가이드의 목표는 상승장 전략을 단순화시켜 신규/기존 트레이더 모두가 쉽게 접근하고 사용해 볼 수 있게끔 하는 것이었습니다.
앞으로, 시장 움직임을 이끄는 기본 원리를 더 깊이 다루어, 여러분에게 트레이딩을 바라보는 더 명확한 관점을 제공해보려 합니다.
온체인 데이터를 읽는 기술을 기르고, 시장의 주요 변화를 암시하는 신호를 찾는 방법을 알아볼 것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제가 좋아하는 알트코인 매매 기회가 곧 시작됩니다.
*알트장 올 거 같으니 이런 거도 다룰 거라는 거 같음
여러분의 트레이딩 포트폴리오를 성장하고 다각화하기 위한 새로운 기회를 탐색해 봅시다.
계속 지켜봐 주세요!
요약과 의역이 있습니다.
요청 또는 이해 안 되는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달아주세요. 열심히 알려드릴게요!
블로그 구독 설정을 하면 새로운 글들을 편하게 보실 수 있어요.
'꿀통 > EmperorBTC MASTER CLA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거래량 분석으로 차트를 읽는 방법 (MASTER CLASS/한글 번역) (13) | 2024.09.19 |
---|---|
22. CVD, 누적 거래량 델타 사용 방법 (MASTER CLASS/한글 번역) (24) | 2023.10.20 |
21. 세션 VWAP, 앵커드 VWAP 튜토리얼 (MASTER CLASS/ 한글 번역) (24) | 2023.08.22 |
20. 매물대 지표를 사용하는 방법 part.3 - VPSV (Volume Profile Series/ 한글 번역) (10) | 2023.07.14 |
19. 매물대 지표를 사용하는 방법 part.2 - FRVP (Volume Profile Series/ 한글 번역) (6) | 2023.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