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통/EmperorBTC MASTER CLASS

5. (마지막)자금 보존 PART.2 (CAPITAL PRESERVATION / 한글 번역)

by 둥둥마루 2021. 9. 8.

이번 화는 EmperorBTC Capital Preservation의 마지막 화입니다.

 

레버리지 계산법과 같이 알찬 내용들이 아주 많은 튜토리얼이니 천천히 곱씹으며 읽어보세요.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When should you enter a trade?

언제 진입을 해야 하나요?

 

The Trading Trident : 명확한 "The Trading Trident"가 있을 때만 진입

 

The Trading Trident = 거래의 삼지창 (진입의 세가지 조건)

 

Larry Williams는 아래에서 롱을 잡든, 위에서 숏을 잡든 중요하지 않지만,

 

언제 어디서 포지션 종료를 해야할 지 항상 알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 모두 해당하는 것을 명심하세요.

Larry R. Williams : 수많은 지표를 만들고 많은 책을 펴낸 미국 유명 트레이더

 

 

포지션 진입을 위한 진입 전제는 항상 범위의 하단 또는 상단에서 진입합니다.

ex) 박스권 상단 또는 하단

 

범위는 주봉에서 부터 초단위의 봉까지 모든 시간 프레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범위의 중간 지점에서 진입하지 마세요.

+중요!

 

 

어떤 부분을 찾아야 할까요?

합류, 접점 지점을 찾아야 합니다. (confluence)

 


Confluence - 접점

접점, 합류 지점(confluence)은 포지션 진입/종료의 이유가 하나 이상이 있는 지점을 말합니다.

 

해당 지역에서 진입을 하면 많은 거래량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많은 진입 트리거가 있는 지점이므로 진입되는 포지션이 많다.

 그렇기에 확률 높은 진입점이 형성

 

ex) VAH, POC, 피보나치, 수평선 지지 등을 사용해 합류 지점 조건으로 사용합니다.

VAH, POC는 추후에 다룰 예정입니다. (Value Area High, Point of Control Trading Strategy)

 

매틱 15분봉 차트/피보나치 + 일봉으로 예시

포지션 진입할때 크기, 수량은 얼마로 설정하고 진입해야 할까요?

 

아주 중요한 내용이니 꼭 집중해서 읽어주세요.

 

포지션 진입 시 필요한 금액은 항상 전체 자본의 일정한 비율이어야 합니다.

ex) 3% (저자도  3% 사용)

 

많은 저자들은 거래마다 1%를 제안하지만 3%로 가정해봅시다.

 

여러분들은 이렇게 말할 수도 있습니다. "왜 3%만 사용해야함?"

 

3%는 당신이 투자하는 리스크의 양입니다.

 

여러분의 포지션 크기는 무효화 지점을 어디에 설정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다시 말해, 1억 원이 있고 3%의 위험을 감수하기로 선택했다고 가정해 보면,

*한국 원화로 수정

300만 원입니다.

 

만약 당신의 무효화 지점이 25배의 레버리지를 허용하는 경우

7500만원의 포지션 크기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진입하는 거래 규모는 7500만원이며, 300만원의 리스크를 감수합니다.

 

최악의 상황이 발생해서 포지션 청산이 되는 지경에 이르러도

-70%~80%가 아닌 3%만 잃게 될 것이며 그 이후에도 여전히 큰 포지션 규모로 거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많은 분들이 여전히 궁금증이 많으신 것을 알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계속해서 설명해드립니다. 계속 읽어주세요.

 


Choosing Position - 포지션의 수량과 레버리지 정하기

 

포지션의 수량이나 레버리지를 정하는 방법이 뭘까요?

그리고 왜 3%의 위험만 감수해야 할까요?

 

포지션의 크기(수량)를 정하는 것은 무효화 지점을 어디로 설정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무효화 지점, 즉 시장 구조가 변경되어 움직이는 방식이 변경되는 시점에 따라 다릅니다.

=계획이 물거품이 되는 지점

 

시장 구조가 변경되면? 거래를 종료하면 됩니다. 단순하죠?

 

무효화 수준의 위치는 본인이 시장을 해석하는 방법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 차트를 통해 이해해보도록 해보세요.

 

BTC 1시간 봉/21년 6월 1일~5일 차트

*원본 화질이 좋지 않아 새로 찍어왔습니다. 

 

근래에 많은 트레이더들의 손실을 초래한 최근의 가짜 추세 돌파를 이용해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차트를 보면 삼각 수렴의 상단(점점 낮아지는 흰색 선)

리테스트에 진입을 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차트에 표시)

 

본인의 거래 방식에 따라 스탑로스를 걸어둘 지점이 많이 있습니다.

 

수렴 상단을 돌파했으나 다시 수렴의 범위로 가격이 내려가면 시장 구조가 바뀔 것입니다.

=상승을 예상했으나 (상승 구조)

 다시 범위로 돌아옴 (상승 돌파, 하락 돌파 등 여러 변수가 있는 구조, 다시 삼각수렴 내로)

 

위와 같은 경우 진입 지점과 무효화 수준(3%) 사이의 거리를 이용해 포지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차트 사진상 진입 지점에서 스탑로스를 걸을 지점까지는 3%입니다)

똥손 emperor

예를 들어, 거래 자본이 1억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우리는 각각의 거래에서 최대 3%의 위험만을 감수하길 원합니다. = 300만원

 

포지션의 사이즈는 아래에 따라 정의:

 

리스크의 금액 ÷ 무효화 지점의 거리(스탑로스 퍼센티지)

 

따라서 이 거래에서 우리는 300만원을 감수해 1억원의 포지션 사이즈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 금액 ÷ 스탑로스까지의 퍼센티지) = 포지션 사이즈

포지션 사이즈 ÷ 리스크 금액 = 레버리지 사이즈

 

*ex)

총 자본은 1000만 원이며 리스크는 총자본의 5%(50만 원)입니다.

무효화 지점, 즉 스탑 로스를 걸 가격은 진입가의 2%입니다.

 

50만원 ÷ 2% = 2500만원(진입량)

 

2500만원(진입량) ÷ 50만원(리스크) = 50(레버리지)

 

= 레버리지 X50배, 2500만원 포지션 격리 진입

 


1. 당신이 진입하는 상황에는 그에 따른 진입의 근거가 있어야 합니다.

 

2. 진입의 근거가 있는 경우엔 해당 근거가 무효가 되는 지점 또한 있어야 합니다.

 

3. 진입 근거가 무효화가 되었다면, 결정적으로 거래를 계속하는 이유 또한 무효가 되어야 합니다.

 

모든 진입에는 종료 시나리오, 진입의 이유, 무효화 지점의 이유 및 가격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진입을 위해서는 진입 조건과 무효화 지점을 꼭 갖고 있어야 합니다.

 

진입 전엔 항상 종료 지점을 정하고 진입하세요.

 

레버리지가 있던 없던 모든 거래에 동일한 규칙이 적용됩니다.

 

 

※ 비트 코인을 현물로 구매하더라도:

 - 차트를 보세요

 - 진입의 이유를 찾으세요.

 - 무효화 지점을 설정하고 진입하세요.

 

 

A. 만약 가짜 추세 돌파가 나타나면 어떡하나요?

 

B. 만약 지지 또는 저항선에서 가격이 반전되면 어떡하나요?

 

A1. 가짜 움직임(fake move)은 자연스러운 움직임보다 훨씬 덜 발생합니다.

= 많이 나타나지 않음

 우리는 가짜 무빙과 싸우는데 너무 몰두해서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활용하지 않습니다.

 

B1. 시장에서 추세 반전이 일어난다면, 반전에서 다시 진입할 것입니까? 

=다시 진입할 것인지 아닌지부터 계획해야 함

 

어떤 게 더 듣기 좋나요?

 

손실을 줄이기 위해 포지션 종료를 한 후 반전에 다시 진입하기 (발생 시에)

 

또는

 

손실을 줄이지 않고 반전을 일어나기를 희망하는 것 (차트에 징후는 나타나지 않는 상태)

 

 

Jack D. Schwager가 한 말을 기억하세요.

 

"저는 투자 계획, 장투 계획에 여러 도구들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저는 TA에만 의존합니다."

 


차트는 펀더멘탈, 즉 기초가 약해지는 시기를 말해줍니다.

진입의 이유가 무엇이든지 간에, 당신은 원금을 보존하는 것을 최우선시해야 합니다.

=TA의 근거와 리스크 관리를 통해

 

가짜 돌파, 유동성 털기(유동성 확보를 위한), 허매수/매도를 고려해 무효화 지점을 설정하세요.

허매수(가짜 매수): 매수 생각이 없지만 호가창에 걸어두어 교란시키는 행위. 허매도는 반대


In conclusion - 결론

 

자본 보존이 주요 목표로 해야 하는 이유를 빨리 깨달을수록 기분이 좋아질 것입니다.

=몰랐다면 아주 중요한 것임을 알게 되었기에

 

더 많은 돈을 벌게 되고 매매에 덜 감정적이게 될 것입니다.

 

시장 구조가 변경되는 곳에 무효화 지점을 설정했음을 알고 있으니

손실을 줄여야 하는 동안엔 감정을 제로(zero)로 유지하세요.

 

그것이 시장에서 나와 새로운 진입점을 찾는 곳입니다. (무효화 지점)

 


  • 마치며

독자 여러분께

 

이 PDF가 제가 항상 여러분들께 '무효화 지점'을 강조하는 이유에 설명이 되었길 바랍니다.

 

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항상 자본을 남겨두어야 함을 기억하세요.

여러분의 자본을 침식되도록 내버려 두면 참가조차 하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본 PDF에서 모두 말씀드렸었지만 돈을 잃는 것은 쉽게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것을 깨달으세요.

=후회하지말고 리스크 관리 하라고!

 

당신은 진입과 종료를 위한 고정된 계획이 필요합니다.

계획을 세우고 꼭 지키세요. 매매에 두려움을 느끼거나 계획을 고수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당신이 충분히 계획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제가 쓴 글이 여러분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길 바랍니다.

누군가가 몇 년 전에 제가 하는 말을 똑같이 나에게 말해줬다면 시장에서 훨씬 앞서갔었을 것입니다.

 

당신은 스스로 실수를 직접 해보며 배우거나, 저에게 배우는 두 가지 방법 중에 선택권이 있습니다.

 

제 텔레그램에는 반전, 리스크 관리 및 진입 또는

종료를 보조해주는 도구들을 주제로 다룬 글들이 있습니다. 꼭 읽어보세요.

(블로그에 EmperorBTC Manual 카테고리 참조)

 

또한, 당신이 트레이더가 되기로 결정했다면 혼자서 시작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아두세요.

 

트레이더는 외로운 직업입니다.

 

여러분의 친구들은 당신의 직업을 이해하지 못하므로 대화가 어려울 것입니다.

 

가끔은 시간을 내어 친구와 가족들과 더 가까워지고 단단한 관계를 만들어나가세요.

이것이 당신의 정신을 맑게 유지하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항상 여러분을 돕기 위해 저는 여기에 있을게요.

 

Emperor 올림.

 


※ 레버리지 계산 퀴즈

9월 1일에 올린 트윗 (본 PDF는 6월에 나옴)

Q. 조니는 200,000달러를 갖고 있습니다.

 

그는 거래에 1%의 리스크만 지고 싶습니다.

 

조니는 가격이 올라갈 것이라 예상하지만 6% 정도 떨어진다면 덤핑 될 것 같기 때문에 

무효화 지점을 6%로 설정하고 싶습니다. (스탑로스)

 

조니는 레버리지를 얼마나 넣어야 할까요?

 

*정답이 뭔지 계산해보시고 댓글에 달아주세요!

 


그날 저녁에 올라온 트윗

*해석*

 

답변들이 절 정말 놀라게 했습니다.

 

진짜로.

 

대답해 주신 분들 중 5%만이 정답을 말했습니다.

 

모두들 차트 공부를 시작하기 전 (기술적 분석을 공부하기 앞서)

 

포지션 사이즈를 정하는 방법과 리스크 관리를 배우세요.

(리스크 관리는 블로그 내 trading manual 튜토리얼 참고)

 


요약과 의역이 있습니다.


요청 또는 이해 안 되는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달아주세요. 알려드릴게요!

블로그 구독 설정을 하면 새로운 글들을 편하게 보실 수 있어요.

(구독 버튼을 누르고 1~3일 정도가 지나야 타임라인에 떠요!)

반응형

댓글